CS 공부
![](https://img1.daumcdn.net/thumb/R750x0/?scode=mtistory2&fname=https%3A%2F%2Fblog.kakaocdn.net%2Fdn%2F6H3Ot%2FbtrVWy7lWJB%2Fy2vs9EkI24TEes1lI70B1K%2Fimg.png)
세션과 JWT
세션과 JWT는 모두 인가에 관한 보안 기술이다. 그렇다면 인가란 무엇일까? 1. 인가란? 인가란 사용자에게 특정 리소스나 기능에 액세스 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하는 프로세스를 말한다. 대표적으로, 서버에서 특정 파일을 다운로드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하거나, 개별 사용자에게 관리자 권한으로 애플리케이션에 액세스 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하는 경우가 여기에 해당된다. 2. 세션 2.1 정의 세션은 일정 시간 동안 같은 사용자(웹 브라우저)로부터 들어오는 일련의 요구를 하나의 상태로 보고 그 상태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기술이다. 여기서 일정 시간이란 방문자가 웹 브라우저를 통해 웹 서버에 접속한 시점으로부터 웹 브라우저를 종료함으로써 연결을 끝내는 시점을 뜻한다. 정리하자면 방문자가 웹 애플리케이션에 접속해 ..
![](https://img1.daumcdn.net/thumb/R750x0/?scode=mtistory2&fname=https%3A%2F%2Fblog.kakaocdn.net%2Fdn%2FdbqFD2%2FbtrTjGhVoGG%2FPrG4zJpUSk3DE97XUefqvK%2Fimg.gif)
[탐색 알고리즘] - DFS 이해하기
코테를 하면서 dfs랑 bfs를 이해하기가 좀 어려웠다. 그래도 머리가 좀 굵어져서인지 최근에는 코테 문제를 풀면서 dfs를 어느 정도 활용할 수 있게 되었다. 오늘 이 시간에는 dfs에 대해 이해하면서 코테 사이트에서 본 문제를 예제 삼아 어떻게 풀었는지에 대해 흐름을 따라가고자 한다. 1. DFS 1.1 정의 탐색 알고리즘 종류 중의 하나이다. Depth First Search. 줄여서 DFS로 불리며 우리나라 말로는 '깊이 우선 탐색'으로 표기할 수 있다. 말 그대로 탐색 시 깊숙이 들어가서 우선 탐색한다. 1.2 구현 일반적으로 재귀호출을 사용하여 구현하지만, 단순한 스택 배열로 구현하기도 한다. 갈림길이 나타날 때마다 '다른 길이 있다'는 정보만 기록하면서 자신이 지나간 길을 지워나간다. 그러다..